레이블이 알재어원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알재어원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07/19

예레미야 52장17-23절 묵상 : 솔로몬의 영광

 예레미야 52:17-23은 바벨론 군대가 예루살렘 성전의 기물과 구조물을 철저히 파괴하고 탈취하는 장면을 묘사합니다. 이 본문은 열왕기하 25장과도 병행되는 내용이며, 성전 파괴의 비극성과 이스라엘의 멸망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구절입니다.

#예레미야 52:17-23 (개역개정)

17. 갈대아 사람은 여호와의 성전의 놋 기둥과 받침들과 여호와의 성전의 놋 바다를 깨뜨려 그 놋을 바벨론으로 가져갔고,
18. 또 가마들과 부삽들과 부집게들과 주발들과 숟가락들과 섬길 때 쓰는 모든 놋 그릇을 다 가져갔으며,
19. 대접들과 불 옮기는 그릇들과 주발들과 솥들과 등잔대들과 숟가락들과 잔들, 곧 금으로 만든 것이나 은으로 만든 것은 다 대장장이 느부사라단이 가져갔으며,
20. 솔로몬이 여호와의 성전을 위하여 만든 두 기둥과 한 바다와 받침 아래 열두 놋 황소, 이 모든 놋 기구의 놋 무게를 헤아릴 수 없었으니,
21. 그 한 기둥은 높이가 열여덟 규빗이요, 그 둘레는 십이 규빗이며, 두께는 네 손 너비로 속이 비었으며,
22. 그 기둥 위에는 놋머리가 있어 높이가 다섯 규빗이요, 머리 주위로 돌아가며 그물과 석류가 다 놋이라.
다른 기둥에도 그와 같은 것과 석류가 있었더라.
23. 그 기둥 주위에 석류가 아흔여섯 개였고, 그물 위에 둘린 석류는 모두 백 개였더라.

📌 요약:

  • 성전의 중심 구조물(기둥, 바다, 받침 등)은 모두 파괴되거나 탈취됨.
  • 정확한 치수와 수량이 언급됨: 고대 성전의 규모와 정교함 강조.
  • 놋 기둥과 놋 바다는 솔로몬 시대의 영광을 상징하지만, 지금은 모두 산산이 부서지고 바벨론으로 끌려감.

예레미야52:117-23에서 솔로몬과 유다의 종교적 자부심이었을 예루살렘 성전이 철저히 파괴되는 장면을 보며 "솔로몬의 영광이 이 꽃보다 ..."로 시작하는 말씀이 떠올랐습니다.  

다음은 마태복음 6장 29절과 누가복음 12장 27절에 나오는 예수님께서 하신 말씀입니다.

  • 마태복음 6:29 (개역개정)

“그러나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솔로몬의 모든 영광으로도 입은 것이 이 꽃 하나만 같지 못하였느니라.”

  • 누가복음 12:27 (개역개정)

“백합화가 어떻게 자라는가 생각하여 보라 수고도 아니하고 길쌈도 아니하느니라 그러나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솔로몬의 모든 영광으로도 입은 것이 이 꽃 하나만 못하였느니라.”

이 말씀은 예수님께서 하나님의 창조와 돌보심에 대한 신뢰를 강조하시면서, 염려하지 말라는 교훈을 주실 때 하신 말씀입니다. 

#누가복음 12:27 헬라어 원문 구문 분석

 κατανοήσατε τὰ κρίνα, πῶς αὐξάνει· οὐ κοπιᾷ οὐδὲ νήθει· λέγω δὲ ὑμῖν, ὅτι οὐδὲ Σολομὼν ἐν πάσῃ τῇ δόξῃ αὐτοῦ περιεβάλετο ὡς ἓν τούτων.

직역 (해석 중심)하면,

"백합화를 깊이 생각해 보아라, 어떻게 자라는지.
수고하지도 않고, 실도 잣지 않는다.
그러나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솔로몬도 그 모든 영광 가운데에서 이 꽃 하나만큼도 입지 못하였다."

 구문 분석

  • κατανοήσατε Aorist Active Imperative, 2인칭 복수<br>(→ κατανοέω) : 깊이 생각해 보아라주의 깊게 관찰하다’, ‘통찰하다’는 의미
  • τὰ κρίνα 중성 복수, 정관사 + 명사 (→ κρίνον) 백합화들 : 예수님 당시 팔레스타인의 야생 들꽃
  • πῶς αὐξάνει πῶς (어떻게) + αὐξάνει (3인칭 단수 현재)<br>(→ αὐξάνω: 자라다) : 어떻게 자라는지를 동사의 현재형 사용으로 지속적인 자연 생장 강조
  • οὐ κοπιᾷ 부정어 οὐ + 동사 (→ κοπιάω: 수고하다) 수고하지도 않고 : 행위 없음 강조
  • οὐδὲ νήθει οὐδὲ (…도 아니하고) + νήθει (→ νήθω: 실을 잣다) 실도 잣지 않는다 : 손으로 일하지 않음을 덧붙여 설명
  • λέγω δὲ ὑμῖν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 선언적 연결어 
  • οὐδὲ Σολομὼν 솔로몬조차도… 아니다 : ‘도’와 ‘아니다’ 강조 구조 
  • ἐν πάσῃ τῇ δόξῃ αὐτοῦ 전치사구, 그의 모든 영광 안에서 : 왕의 최고의 화려함 표현 
  • περιεβάλετο : Aorist Middle Indicative, 3인칭 단수<br>(→ περιβάλλω: 옷 입히다, 감싸다) 입지 못하였다 능동 아닌 중간태 사용 → 자기가 스스로 입은 것
  • ὡς ἓν τούτων 이들(꽃) 중 하나처럼 : 비교구문
=> 들꽃조차 하나님의 섭리로 자라고 아름답게 입혀진다. 솔로몬은 인간이 이룬(자기 스스로 입은) 최고의 영광과 부귀의 상징이지만, 하나님의 손길로 피어난 꽃 한 송이보다도 못하다.

2025/07/06

예레미야 51장15-19절 : 내 것이 네 것

예레미야 51:15–19은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시고 통치하시는 능력을 찬양하며, 우상과 대조되는 참 하나님을 강조하는 본문입니다. 아래는 히브리어 원문의 내용입니다.

#예레미야 51:15

הָעֹשֶׂה אֶרֶץ בְּכֹחוֹ מֵכִין תֵּבֵל בְּחָכְמָתוֹ וּבִתְבוּנָתוֹ נָטָה שָׁמָיִם׃

구문 분석:

  • הָעֹשֶׂה – Qal 분사 남성 단수, “만드시는 이”, (주어)
  • אֶרֶץ – “”, (목적어)
  • בְּכֹחוֹ – 전치사 + 명사 + 3인칭 남성 단수 접미어 “그의 능력으로
  • מֵכִין – Hiphil 분사 남성 단수, “세우시는 이” (확고히 하다)
  • תֵּבֵל – “세계, 온 세상”, (목적어)
  • בְּחָכְמָתוֹ – “그의 지혜로
  • וּבִתְבוּנָתוֹ – “그의 명철로
  • נָטָה – Qal 완료 3인칭 남성 단수 “펴셨다
  • שָׁמָיִם – “하늘

해석:

그분은 그의 능력으로 땅을 만드셨고, 지혜로 세상을 세우셨으며, 명철로 하늘을 펴셨다.

#예레미야 51:16

בְּקֹלוֹ תִּתְּנוּ הֲמוֹן מַיִם בַּשָּׁמַיִם וַיַּעַל נְשִׂיאִים מִקְצֵה-אָרֶץ בְּרָקִים לַמָּטָר עָשָׂה וַיּוֹצֵא רוּחַ מֵאוֹצְרֹתָיו׃

구문 분석:

  • בְּקֹלוֹ – “그의 음성으로
  • תִּתְּנוּ – Qal 미완료 3인칭 복수 여성 또는 2인칭 복수 남성: “(그것들이) 떠들다 / 울려 퍼지다
  • הֲמוֹן מַיִם – “물의 큰 소리 / 많은 물
  • בַּשָּׁמַיִם – “하늘에서
  • וַיַּעַל – Hiphil 완료 3인칭 남성 단수 “올리셨다
  • נְשִׂיאִים – “안개들 / 수증기들
  • מִקְצֵה-אָרֶץ – “땅 끝에서
  • בְּרָקִים לַמָּטָר עָשָׂה – “번개를 비를 위하여 만드셨고”
  • וַיּוֹצֵא – Hiphil 완료 “내보내셨다
  • רוּחַ – “바람
  • מֵאוֹצְרֹתָיו – “그의 창고들로부터

해석:

그의 음성이 울릴 때 하늘에 많은 물소리가 있으며, 땅 끝에서 안개(수증기)를 오르게 하시고, 비를 위하여 번개를 만드시며, 바람을 그의 곳간에서 내보내신다.

→ 땅의 수증기들이 상승하여 구름이 되고 비가 되는 원리를 인간이 깨치는데 수천 수만년이 걸린 것을 우리는 압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이미 창조 당시 이 원리를 이용해 비를 만드셨음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말하는 "과학"이란 것이 하나님보다 중요한 가치가 된다는 건 참으로 우스꽝스러운 일입니다. "과학"이란 어쩌면 인간의 오만함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겨우 "물의 순환"을 깨우치고 오만방자해진 인간이 이 모든 우주만물의 섭리를 만드신 원조되신 하나님을 외면하고 무시한다는 건 참으로 어이없는 배신과 반역입니다. 그럼에도 하나님께서는 이런 우리를 살리시려 하나뿐인 독생자 예수님을 우리를 위한 희생양으로 이 땅에 보내셨었습니다. 

그러고보면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심장에는 용서라는 여과장치가 없나 봅니다. 자녀를 향한 구멍난 부모의 심장처럼, 자녀가 아무리 속을 썩이고 배신을 해도 용서라는 과정이 필요없이 바로바로 용서되어 애틋한 안타까움과 사랑만 남는ᆢ, 용서란 여과장치가 필요없이 - 가슴에서 심장으로 가는 사이의 판막이 뻥 뚫려 구멍이 나있어 - 버얼건 사랑의 생 심장만 존재하나 봅니다

#예레미야 51:17

בַּעַר כָּל-אָדָם מִדָּעַת הֹבִישׁ כָּל-צֹרֵף מִפֶּסֶל כִּי-שֶׁקֶר מַסֵּכָה וְאֵין-רוּחַ בָּם׃

구문 분석:

  • בַּעַר כָּל-אָדָם מִדָּעַת – “모든 사람은 지식이 없어 짐승 같도다
  • בַּעַר – “짐승 같은 자, 어리석은 자
  • מִדָּעַת – “지식으로부터 (결여되어)
  • הֹבִישׁ – Hiphil 완료 “수치를 당하다
  • כָּל-צֹרֵף – “모든 세공인
  • מִפֶּסֶל – “조각상 때문에
  • כִּי-שֶׁקֶר מַסֵּכָה – “이는 그 형상이 거짓되며
  • וְאֵין-רוּחַ בָּם – “그 안에는 영이 없다”

해석:

모든 사람이 지식이 없어 짐승 같고, 조각상 때문에 모든 세공인이 수치를 당하나니, 이는 부어 만든 형상이 거짓이며, 그 안에 영이 없음이라.

→"조각상"은 한글과 영어성경에서 "우상"으로 번역되는 부분입니다. 우상은 세공사들이 만든 조각상일 뿐임을 분명히 해주고 있습니다.

#예레미야 51:18

הֶבֶל הֵמָּה מַעֲשֵׂה תַתֻּעוֹת בְּעֵת-פְּקֻדָּתָם יֹאבֵדוּ׃

구문 분석:

  • הֶבֶל הֵמָּה – “그들은 헛된 것이며”
  • מַעֲשֵׂה תַתֻּעוֹת – “속임수의 작품들”
  • בְּעֵת-פְּקֻדָּתָם – “그들의 심판의 때에”
  • יֹאבֵדוּ – Qal 미완료 3인칭 복수 “그들이 멸망하리라”

해석:

그것들은 헛된 것이며, 속임수로 만든 것들이니, 그들을 심판하는 때에 멸망하리라.

#예레미야 51:19

לֹא-כָאֵלֶּה חֵלֶק יַעֲקֹב כִּי-יוֹצֵר הַכֹּל-הוּא וְשֵׁבֶט נַחֲלָתוֹ יְהוָה צְבָאוֹת שְׁמוֹ׃

구문 분석:

  • לֹא-כָאֵלֶּה – “이들과 같지 않다
  • חֵלֶק יַעֲקֹב – “야곱의 몫 / 유산”
  • כִּי-יוֹצֵר הַכֹּל-הוּא – “그는 만물의 조성자이시기 때문이다”
  • וְשֵׁבֶט נַחֲלָתוֹ – “그의 유산의 지팡이 / 통치권
  • יְהוָה צְבָאוֹת שְׁמוֹ – “그의 이름은 만군의 여호와시다”

해석:

야곱의 몫은 그들과 같지 않으니, 그는 만물을 지으신 분이시며, 이스라엘은 그의 유업이며, 그의 이름은 만군의 여호와이시다.

#야곱의 몫 

예레미야 51:19에서 “야곱의 몫”이라고 번역된 히브리어 단어는 חֵלֶק (ḥēleq)입니다. 하나님께서는 하나님 자신을 야곱의 몫, 즉 "분깃" "기업"으로 표현하십니다.

1. 기본 의미: 부분, 분깃, 몫

חֵלֶק (ḥēleq)의 가장 기본적인 의미는 “전체 중에서 분할된 몫”입니다.

예를 들면:

  • 땅의 분배 (여호수아 14:5 등)
  • 유산의 분깃 (창세기 31:14)
  • 전리품의 몫 (사무엘상 30:24)
예레미야 51:19의 문맥 속 의미

לֹא כָאֵלֶּה חֵלֶק יַעֲקֹב

야곱의 חֵלֶק은 그들과 같지 않다”

여기서 חֵלֶק은 단순히 “소유”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구체적으로:

👉야곱이 받은 분깃

하나님께서 야곱 (이스라엘)에게 주신 유일하고 독특한 분깃그것은 바로 하나님 자신입니다.

신명기 32:9과 연결해 보면 더욱 분명합니다:

 כִּי חֵלֶק יְהוָה עַמּוֹ יַעֲקֹב חֶבֶל נַחֲלָתוֹ

“여호와의 분깃은 그의 백성이요, 야곱은 그의 기업의 몫이다.”

다른 민족은 우상을 “분깃”으로 삼지만,

야곱의 분깃은 살아계신 창조주 하나님이심을 강조하는 대조입니다.

  • 문자적 의미 : 야곱이 가진 “부분”, “소유”, “할당된 몫”
  • 상징적 의미 : 야곱이 우상 아닌 창조주 하나님을 자신의 분깃으로 삼음
  • 대조 효과 : 앞절에서 말한 “우상(거짓 형상)”과의 비교: 우상은 헛되고 사라지지만, 여호와는 창조주시며 영원하심

즉, חֵלֶק은 단순한 “소유물”이 아니라,

야곱(이스라엘)이 하나님과의 언약 가운데 받은 존재적 정체성과 관계, 곧 “하나님이 야곱의 기업이요, 야곱은 하나님의 소유”라는 상호적 언약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2025/06/29

‘Make up’의 어원과 뜻 총정리|화해부터 보상까지

 "Make up"은 매우 다양한 의미를 가진 다의어적 구동사입니다. 그 어원과 유래, 그리고 관련된 숙어들을 아래에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어원 및 유래

어원: "make" + "up"는 고대 영어에서 각각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make (고대 영어 macian)
: '만들다, 구성하다'

+

up
: '완성, 방향, 상승' 등을 의미하는 부사

"make up"의 조합은 중세 영어 시기부터 사용되었으며, 두 단어의 결합은 "완성하거나 다시 채운다", "다시 구성한다"는 의미로 발전했습니다.

1600년대 후반부터 다양한 의미로 확장되어 사용되었고, 특히 1800년대에는 감정적/관계적 회복(=화해)이나 보상(=보충)의 의미로 널리 퍼졌습니다.

2. 주요 의미별 용법

  • 보상하다
She made up for the lost time. 잃어버린 시간을 만회했다
  • 화해하다
They argued, but later made up. 그들은 다퉜지만 나중에 화해했다
  • 구성하다
Women make up 60% of the staff. 여성은 직원의 60%를 구성한다
  • 지어내다
He made up a story. 그는 이야기를 지어냈다
  • 화장하다
She took an hour to make up. 그녀는 화장하는 데 한 시간이 걸렸다

3. 관련된 숙어/표현들

  • make up for 보상하다, 만회하다

He worked hard to make up for his mistake.

  • make (it) up to someone~에게 보상하다

I’ll make it up to you for being late.

  • make up (with someone) ~와 화해하다

She made up with her friend after the fight.

  • make up one’s mind 마음을 정하다

I can't make up my mind yet.

  • make up a story 이야기를 지어내다

He made up a silly excuse.

  • make up the difference 차액을 메우다

I’ll make up the difference with my own money.

4. 예

  • Make up for the loss/fault 손해/잘못에 대해 갚아라
  • Make up for the wrong 잘못을 바로잡다/만회하다/죄를 갚다.
  • make up with your brother 네 형제와 화해하라

2025/06/18

영어 표현 Amount to Nothing의 의미는? 실패를 말하는 영어 관용어

영어 공부를 하다 보면 "amount to nothing"이라는 표현을 종종 보게 됩니다.

이 표현은 직역하면 "아무것도 되지 않다", 즉 "결국 아무런 결과도 이루지 못하다", "헛수고가 되다"라는 뜻입니다.

1. amount to nothing의 정확한 의미

#amount to nothing

👉 to have no successful result or no real meaning; to fail to achieve anything significant

  • 결국 아무 성과도 없다
  • 헛수고가 되다
  • 무의미하게 끝나다
  •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다

2. 예문으로 이해하기

All his hard work amounted to nothing in the end.

👉 그의 모든 노력은 결국 아무 소용이 없었다.

Their plans amounted to nothing after the budget was cut.

👉 예산이 삭감되면서 그들의 계획은 물거품이 되었다.

I’m afraid this negotiation will amount to nothing if we can’t agree on the terms.

👉 조건에 합의하지 못하면 이번 협상은 아무 성과 없이 끝날지도 몰라.

3. 어원과 구조 분석

#amount to A = 결국 A가 되다, A에 이르다

여기서 nothing이 들어가면?

→ "결국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즉, 어떤 노력이나 과정이 있었지만 결과적으로는 아무 의미나 성과도 없었다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갖고 있어요.

4. 비슷한 표현들

  • come to nothing 헛수고가 되다, 실패하다
  • end in vain 허사가 되다
  • be in vain 헛되다, 소용없다
  • be fruitless 결실이 없다

Conceive와 Conceit 차이점과 어원 정리: 쉽게 이해하는 영어 어휘

 1. 어원 분석

  • 공통 어원: 라틴어 concipere
  • 구성: con-(함께) + capere(잡다, 취하다)
  • 원뜻: 무언가를 마음이나 몸에 받아들이다, 품다

2. 단어별 어원 및 의미 변화

#Conceive

라틴어 concipere → 중세 프랑스어 concevoir → 영어 conceive
1) 초창기 의미:
① (생물학적으로) 아이를 잉태하다
② (정신적으로) 생각을 품다, 떠올리다

2) 현재 의미:

  • to form or develop an idea: 생각을 품다, 상상하다
  • to become pregnant: 임신하다

예시:

  1. She conceived the idea during her travels. (그녀는 여행 중에 그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2. She conceived a child last spring. (그녀는 지난 봄에 아이를 임신했다.)

#Conceit

라틴어 concipere → 중세 영어 conceit

1) 원래 의미:

  • 'conceived idea' (마음속에 품은 생각) → 점차 ‘특이하거나 기발한 생각’
  • 이후 ‘자기 자신에 대한 과도한 믿음’ 의미로 의미로 변함.

2) 현재 의미:

  • 지나친 자부심, 자만심 (excessive pride in oneself)
  • (문학에서) 기발한 비유나 아이디어 (especially in poetry)

예시:

  1. His arrogance and conceit made him unpopular.
  2. The poem is built around a clever conceit.

3. 차이점 요약

#Conceive

  • 품사 : 동사 (verb) 
  • 핵심 의미 : 생각하다, 잉태하다
  • 뉘앙스 : 중립적 또는 긍정적
  • 사용 문맥 : 사고, 아이디어, 임신 등

#Conceit

  • 품사 : 명사 (noun)
  • 핵심의미 : 자만심, 기발한 아이디어
  • 뉘앙스 : 부정적(자만), 또는 문학적 용법
  • 사용문맥 : 성격, 문학 등

4. 같은 어원을 가진 단어들 (concipere 계열)

  • concept 개념, 생각 (something conceived in the mind)
  • conception 개념 형성, 임신
  • conceivable 생각할 수 있는, 상상할 수 있는
  • inconceivable 상상도 못할, 생각할 수 없는
  • misconceive 오해하다, 잘못 이해하다
  • deceive (변형 어원) 속이다 (capere 관련 – ‘잡아서 속이다’)

2025/06/14

"샬롬"이 "형통함", "prosper"이었다고?

Q. "형통" 또는 “Prosper(번영, 번성)”라는 말이 구약 성경에 등장하는가?

구약 히브리어 성경에는 "형통" 또는 "prosper"에 해당하는 단어가 분명히 나옵니다.

단어 자체가 “형통”이란 단어로 번역되지는 않아도, 문맥상잘 되다, 성공하다, 번성하다,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나아가다’ 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히브리어 단어들이 있습니다.

1. 구약 히브리어 성경에서 "형통"의 대표 단어들

히브리어 발음 뜻 설명

  • צָלַח tsalach 잘 되다, 형통하다, 성공하다 가장 흔하게 ‘형통하다’로 번역됨
  • שָׁלוֹם shalom 평안, 온전함, 복지 문맥에 따라 형통으로 번역되기도 함
  • שָׂכַל sakal 지혜롭게 행하다, 번영하다 여호수아 1:8 등에서 형통의 조건으로 등장
  • עָשַׁר ashar 부유하게 하다 물질적 형통과 관련 있음

2. 히브리어 구약에서 “형통”으로 번역된 대표 구절들

  • 창세기 39:2

 “여호와께서 요셉과 함께 하시므로 그가 형통한 자가 되어...”

히브리어:

וַיְהִי אִישׁ מַצְלִיחַ (vayehi ish matzliach)

"matzliach" ← 동사 צָלַח (tsalach)의 히필형:

→ 하나님이 형통하게 하셨다

  • 여호수아 1:8

“…그리하면 네 길이 평탄하게 될 것이며 네가 형통하리라.”

히브리어:

אָז תַּצְלִיחַ (az tatzliach) ← 역시 צָלַח (tsalach)

형통(성공)과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하는 삶의 연결

  • 시편 1:3

“…그가 하는 모든 일이 다 형통하리로다.”

히브리어:

כֹּל אֲשֶׁר יַעֲשֶׂה יַצְלִיחַ (kol asher ya’aseh yatzliach)

여기서도 tsalach이 사용됨

3. '형통'의 뉘앙스 

형통은 히브리어에서 단순히 물질적 성공이 아니라,

하나님의 함께 하심으로 인해 이루어지는 영적·도덕적·실제적 성공입니다.

따라서 성공(succeed), 형통(prosper), 잘됨(well-being) 등의 의미로 다양하게 번역됩니다.

#샬롬 (שָׁלוֹם)

히브리어 “샬롬” (שָׁלוֹם) 은 기본적으로 “평화”를 뜻하지만, 보다 넓게는 ‘형통함’, ‘번영’, ‘안녕’, ‘온전함’을 포함합니다. 실제로 “형통”이라는 의미로 샬롬이 사용된 구절들이 구약성경에 등장하며, 문맥상 삶의 전반적 평안과 성공, 복된 상태를 뜻하는 경우입니다.

#샬롬이 ‘형통’의 의미로 쓰인 대표 구절들

  • 창세기 37:14

“네 형들이 양을 치는 것이 잘 되었는지를 보고 오라”

히브리어 원문:

רְאֵה אֶת־שְׁלוֹם אַחֶיךָ וְאֶת־שְׁלוֹם הַצֹּאן
Re’eh et-shalom acheicha ve’et-shalom hatzon

▶︎ “네 형들의 평안과 양 떼의 평안을 살피라”

▶︎ 여기서 “샬롬(שָׁלוֹם)”은 단순한 ‘평화’가 아니라 건강, 안전, 형편, 형통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 사무엘상 17:18

 “네 형들이 평안한지 알아보라”

히브리어 원문: 

וְאֵת שְׁלוֹמָם תִּקָּח
Ve’et shelomam tiqqach

▶︎ 그들의 샬롬(형통한 상태)을 확인하라

▶︎ 전쟁 중 형들의 무사와 형통을 묻는 맥락

  • 열왕기하 5:22

“다 잘 되느냐?” – “다 평안하니이다”

히브리어 원문: 

הֲשָׁלוֹם? וַיֹּאמֶר שָׁלוֹם

▶︎ “형통합니까?” → “형통합니다”

▶︎ 여기서 “샬롬”은 안부 인사와 동시에 삶의 형통함을 뜻함

  •  시편 35:27

 “여호와는 그의 종의 형통함을 기뻐하신다”

히브리어 원문: 

יֶחְפָּץ שָׁלוֹם עַבְדּוֹ
yechpats shalom avdo

▶︎ “그의 종의 샬롬(형통, 평안, 번영)을 기뻐하신다”

  •  예레미야 29:11

“너희에게 미래와 희망을 주는 평안의 계획이라”

히브리어 원문:

מַחְשְׁבוֹת שָׁלוֹם וְלֹא לְרָעָה
machshevot shalom velo lera'ah

▶︎ “재앙이 아니라 형통/복된 계획”

▶︎ 샬롬은 여기서 하나님이 약속하신 형통한 미래를 의미

#헬라어 에이레네(εἰρήνη) : 샬롬의 신약적 성취 

히브리어 샬롬(שָׁלוֹם) 과 헬라어 에이레네(εἰρήνη) 는 성경에서 모두 “평화”로 번역되지만, 그 의미와 사용 범위는 단순한 평화(peace)를 넘어섭니다. 특히 샬롬의 신약적 성취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완전한 회복과 형통이라는 주제로 연결됩니다.

1. 샬롬(שָׁלוֹם, shalom) – 구약의 개념

 의미: 평화, 형통, 온전함, 안녕, 조화, 복지

뿌리 단어: שלם (sh-l-m) → “완전하다”, “충만하다”, “갚다”, “회복시키다”

즉, 샬롬은 단순한 ‘전쟁 없음’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가 온전할 때 주어지는 내적, 외적, 공동체적 형통을 의미합니다.

▶ 사용 예:

  • 민수기 6:26 – “여호와께서 그 얼굴을 네게로 향하여 드사 평강(샬롬) 주시기를 원하노라”
  • 시편 29:11 – “여호와께서 자기 백성에게 힘을 주시며 평강(샬롬)으로 복 주시리로다”

2. 에이레네(εἰρήνη, eirēnē) – 신약의 개념

의미: 평화, 조화, 안정, 형통, 화해

☝어원: 헬라어 εἴρω (eirō) = “잇다, 연결하다” → 분리되었던 것을 하나로 회복시킴

▶ 사용 예:

  • 요한복음 14:27 “내가 너희에게 평안을(εἰρήνην) 끼치노니 곧 나의 평안을 너희에게 주노라”

→ 예수께서 주시는 평화는 샬롬의 성취이며, 세상이 주는 것과는 다른 내면의 화평

  • 로마서 5:1 “그러므로 우리가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았으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화평(εἰρήνην)누리자

하나님과 관계의 회복 (구약적 샬롬의 핵심)

3. 샬롬과 에이레네 비교

  • 샬롬 (שָׁלוֹם) – 구약, 히브리어
  1. 핵심 의미 : 온전함, 형통, 회복
  2. 대상 : 개인, 공동체, 국가, 하나님과의 관계
  3. 연결점 : 삶 전체의 조화와 형통
  4. 성취점 메시아의 오심으로 완성될 평화
  • 에이레네 (εἰρήνη) – 신약, 헬라어
  1. 핵심 의미 : 화해, 평화, 안정
  2. 대상주로 하나님과의 관계, 내면의 평화
  3. 연결점 :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영적 회복
  4. 성취점 : 예수 안에서 샬롬의 완전한 실현

#예수님의 사역을 통한 샬롬의 실현:

구약에서 예언된 샬롬은 메시아를 통해 완성될 평화와 형통을 말합니다.

예수님은 “평강의 왕”(이사야 9:6) 으로 오셔서 샬롬의 실체가 되셨습니다.

※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과 샬롬의 의미

  • 죄의 사함 :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
  • 병 고침 : 육체적, 정서적 회복
  • 악령 추방 : 영적 평안
  • 죽음의 이김 : 완전한 구원과 회복

요약하면,

샬롬은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에서 흘러나오는 총체적 형통입니다.

에이레네는 그리스도를 통한 그 샬롬의 성취입니다.

그러므로 신약에서 “평화”는 단순히 감정 상태가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어진 새로운 창조와 관계 회복을 뜻합니다.

2025/06/08

예레미야 40장 1-6절 : 선택의 자유

#예레미야 40:1-6_요약

예레미야는 바벨론에 의해 포로로 끌려가는 유다 백성들과 함께 결박된 상태로 라마에 있다가, 바벨론 군대 대장 느부사라단에 의해 풀려납니다. 느부사라단은 예레미야에게 이 재앙은 여호와께서 이미 예언하신 것이며, 백성의 죄로 인해 이루어진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예레미야에게 바벨론으로 함께 갈 수도 있고, 유다 땅에 남아 원하는 곳으로 갈 수도 있다고 선택권을 준다. 예레미야는 미스바에 있는 그달리야에게로 가서, 유다 땅에 남아 있는 백성과 함께 거한다.

#느부갓네살과 고레스 : 하나님의 뜻을 성취하는 데 사용된 대표적인 이방 인물

  • 예레미야 40:2-3 (개역개정)

2. 사령관 느부사라단이 예레미야를 불러다가 이르되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곳에 이 재앙을 선포하시더니,

3. 여호와께서 그가 말씀하신 대로 이루셨도다.

이 일이 너희에게 임한 것은 너희가 여호와께 범죄하고

그의 목소리를 순종하지 아니하였으므로 이 일이 너희에게 임하였느니라.”

이 구절에서 바벨론의 느부사라단 장군은 이방인이지만, 여호와의 뜻이 이루어진 것을 인정하고 그 원인이 유다 백성의 불순종 때문이라고 분명히 말합니다. 

느부갓네살은 심판의 도구, 고레스는 회복의 도구로 하나님의 뜻을 이루는 데에 사용된 대표적인 이방인물들입니다.

부끄럽게도 이방인조차 하나님의 뜻을 알고 있는데 정작 하나님의 백성들은 하나님과 그 분의 뜻과 진심에는 아무런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럼, 느부갓네살과 고레스도 하나님을 믿는 신자였을까?

심판을 통해 하나님의 권세를 인정한 고백이지, 이들이 언약 백성으로의 믿음을 갖고 여호와만을 섬겼다는 증거는 아닙니다.

정치적으로 여러 민족의 신들을 모두 인정하는 다신교적 관점에서 나온 표현일 가능성이 큽니다.

즉, 다신을 섬기는 그들에게 "이스라엘의 하나님"도 그들에게는 여러 다양한 민족의 종교나 우상 중의 하나 였을 것입니다.

  • 예레미야 40:2 (개역개정)
사령관 느부사라단이 예레미야를 불러다가 이르되,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 ....”

현대에도 세상에는 기독교를 적대시하는 이들이 있는 반면, 기독교를 여러 종교 중 하나로 인정하고 존중하는 자들이 있습니다. 

'적대'와 '인정'은 하나님과 하나님의 백성을 대하는 태도의 차이일뿐 우리는 그들을 신자라 부르지 않습니다.

실제로 고레스의 칙령(역사 문서)에는 여러 신들의 이름이 나열되어 있고, 모든 민족이 각자의 신에게 제사드리도록 허용한 정책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결국, 이 두 사람은 다신론자들로, 

그들이 믿은 ‘여호와’는 다신들 중 하나로 여겨졌을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무지와 무관심 : 잘못 사용된 자유

가장 부끄럽고 안타까운 부분은, 이방인 왕들조차 하나님의 주권과 계획에 관심을 갖고 예레미야의 말에 귀를 기울였는데, 정작 하나님의 율법과 말씀을 받은 언약 백성인 이스라엘과 유다는 끝까지 듣지 않았다는 사실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을 자유인으로 부르셨습니다.

  • 예레미야 34:13절

13.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내가 너희 조상들을 애굽 땅 종의 집에서 인도하여 낸 날에 그들과 언약을 맺으며 이르기를,

하나님께서 주신 구원은 이스라엘을 종에서 자유인으로의 신분과 지위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죄와 사망의 종"되었던 우리를 구원하셔서 "죄와 사망"으로부터 해방된, 자유인이 된 우리의 신분과 지위의 변화와 일치합니다.

다시 말해, 하나님께서 주신 구원은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의 종살이에서 해방시키시고 자유인으로 삼으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예수그리스도로께서 "죄와 사망의 종"이었던 우리를 구원하시고, "죄와 사망"으로부터 "해방된 자유인"으로 삼으신 신분과 지위의 변화와 깊이 일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출애굽기 20:2

“나는 너를 애굽 땅, 종 되었던 집에서 인도하여 낸 네 하나님 여호와니라.”

  • 로마서 6:17-18

“전에 죄의 종이던 너희가… 죄로부터 해방되어 의에게 종이 되었느니라.”

  • 갈라디아서 5:1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자유롭게 하려고 자유를 주셨으니… 다시는 종의 멍에를 메지 말라.”

하나님께서 당시의 이스라엘을, 그리고 우리를 더 이상 "종"이 아닌 "자유인"으로 부르셨음을 알게 합니다.

그 변화된 신분과 지위의 존귀함과 가치의 소중함을 살아내라고 말씀해 주시는 듯 하지 않나요?

그러나, 당시의 이스라엘도 오늘의 우리도 하나님께서 애굽에서 종되었던 우리를 구해내셨다는 말씀의 의미에 대해 무지하고 무관심했었다는 사실을 깨달으며 충격속에 빠집니다.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나는 너를 애굽 땅, 종 되었던 집에서 인도하여 낸 네 하나님 여호와니라.” 

라고 누누히 반복하셨던 이 말씀이 하나님의 잔소리같던 생색이나 이스라엘에 대한 배신감이 아니라, 

우리가 하나님께서 주신 자유와 자유인으로 부르심을 받은 우리, 곧 "우리가 누구인가"에 대한 정체성과 우리의 가치를 깨닫길 바라셨던 아버지의 깊은 안타까움이셨다면... ...

다시 말해,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나는 너를 애굽 땅, 종 되었던 집에서 인도하여 낸 네 하나님 여호와니라”

하고 반복하여 말씀하신 것은, 단순한 생색이나 잔소리가 아니라, 자신의 자녀로 삼은 주의 백성들이 진정한 자유인으로 살아가길 바라신 아버지의 간절한 마음이셨을 것 입니다.

그 말씀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자유의 의미와,

그 자유 안에서 살아가는 우리가 누구인지(정체성),

그리고 우리가 얼마나 귀한 존재인지(가치)를 기억하게 하려는 부르심이었을 것 입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이 진심에 무지했고 무관심 했을까요? 아니면, 하나님의 진심을 오해했을까요?,  그것도 아니면, 하나님의 뜻을 알면서도 욕심에 눈이 어두워 애쓴 외면이었을까요?

  • 예레미야 5:21

“어리석고 지각이 없어서 눈이 있어도 보지 못하고 귀가 있어도 듣지 못하는 백성아…”

  • 말라기 1:2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내가 너희를 사랑하였노라 하나 너희는 이르기를

‘주께서 어떻게 우리를 사랑하셨나이까?’ 하는도다.”

  • 호세아 4:6

“내 백성이 지식이 없어 망하는도다... 네가 하나님의 율법을 버렸으니…”

여기서 말하는 ‘지식 없음’은 단순한 정보 부족이 아니라,

고의적으로 외면하고 버린 것을 의미합니다.

그들은 하나님을 알았지만, 자기 이익과 우상숭배를 선택했습니다.

  • 이사야 1:3도 같은 맥락입니다.

“소는 그 임자를 알고 나귀는 그 주인의 구유를 알건마는 이스라엘은 알지 못하고 내 백성은 깨닫지 못하는도다.”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진심에 대해 무지했든, 무관심했든, 알면서도 외면했든,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이 '종'이 아닌 '자유인'으로서의 명예와 영광을 누리며 살기를 원하셨다는 것을 성경은 분명히 보여 줍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은 하나님께서 주신 그 자유를 자기 욕심과 방종, 우상숭배로 오용했습니다.

예레미야가 활동하던 시대는 이스라엘의 영적 무너짐이 극에 달한 시기였고, 이때의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언약을 저버린 자의 비참함, 즉 죄와 사망 아래 놓인 인간의 실존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그러나 이 절망의 시기는 동시에, 하나님께서 인류 구원을 위해 여전히 일하고 계셨던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포로기에서 신약에 이르기까지 하나님은 우리를 위해 예수 그리스도의 오심을 준비하시며 쉼 없이 일하셨고, 마침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죄와 사망의 종이었던 인류를 자유케 하셨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죄와 사망의 종이던 자리에서 해방되어, "자유인"으로 부름 받은 새로운 신분과 지위를 얻게 되었습니다.

2025/05/26

예레미야 34장 : 종에서 자유인으로, 신분과 지위의 변화

예레미야 34장은 유다의 말기 상황을 그리면서, 동시에 이스라엘과 유다 전체 역사의 실패 원인을 축약적으로 보여주는 장입니다.

예레미야 34장은 이스라엘과 유다가 왜 무너졌는지를 보여주는 ‘거울’과 같은 장입니다.

이 장은 단순한 역사 기록이 아니라, 하나님의 마음과 백성의 상태를 진단하는 영적 엑스레이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시드기야와 유다 백성에게 회개할 기회를 끊임없이 제공합니다.

“만일 그 민족이 돌이켜 그들의 악에서 떠나면 내가 그에게 내리기로 생각하였던 재앙에 대하여 뜻을 돌이키겠고”  – 예레미야 18:8

그러나 그들은 일시적으로 순종하는 듯하지만, 결국 그들은 자기 욕심에 따라 다시 원래대로 돌아갑니다. 그들은 결국 그 기회를 거절합니다.

#예레미야 34장_내용요약

유다의 마지막 왕 시드기야 시대, 즉 예루살렘 멸망 직전의 긴박한 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장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며, 각각 다음과 같은 상황을 다룹니다.

1. 시드기야 왕에게 주신 하나님의 말씀 (예레미야 34:1–7)

  • 상황: 바벨론 군대가 예루살렘과 유다의 마지막 견고한 성읍들(라기스와 아세가)을 포위하고 있을 때입니다.
  • 하나님의 말씀:

  1. 예루살렘은 반드시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의 손에 넘어갈 것이며, 성읍은 불타고 파괴될 것.
  2. 시드기야는 도망치지 못하고 바벨론 왕에게 잡혀가며, 바벨론에서 죽을 것.
  3. 그러나 그는 칼에 죽지는 않고, 평안히 죽을 것이며 장례식도 왕답게 치러질 것이라고 약속하십니다(34:4–5).

2. 노예 해방 언약을 깨뜨린 유다 백성들에 대한 책망 (예레미야 34:8–22)

  • 상황: 이 바벨론의 압박 속에서, 유다의 지도자들과 백성들이 일시적으로 히브리 동족 노예를 자유롭게 하겠다는 언약을 맺었고, 실제로 노예를 해방시켰습니다. 그러나 며칠이 지나지 않아 다시 마음을 돌이켜 해방한 노예들을 억지로 되잡아 종으로 삼습니다.
  • 하나님의 말씀: 

예레미야 34:13-14절

13.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내가 너희 조상들을 애굽 땅 종의 집에서 인도하여 낸 날에 그들과 언약을 맺으며 이르기를,

14. 너희 형제 히브리 사람이 네게 팔려 왔거든 너는 여섯 해 동안 그를 섬기게 하고 제칠 해에는 그를 놓아 자유롭게 할지니라 하였으나, 너희 조상들은 내게 순종하지 아니하며 귀를 기울이지도 아니하였느니라.

예레미야 34:16-17절 

16. 너희가 돌이켜 내 이름을 더럽히고, 각기 놓아 자유롭게 한 남녀 종을 다시 끌어다가 너희에게 복종시켜 너희의 종으로 삼았도다.

17. 그러므로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너희가 각기 형제와 이웃에게 자유를 선포하지 아니하였은즉, 내가 너희를 대적하여 칼과 전염병과 기근에게 자유를 선포하고 너희를 세계 여러 나라 가운데 흩으리라. 

예레미야 34장 전체 맥락 속에서 하나님께서는 분명히 회개의 기회를 주셨습니다. 하나님은 시드기야 왕에게 심판을 선언하시면서도, 희망의 메시지도 함께 주십니다.

“네가 칼에 죽지 아니하고 평안히 죽을 것이라…” (34:4–5)

실제로 예레미야 38장 등에서도 시드기야는 예레미야의 권면을 받습니다:

“바벨론 왕의 고관들에게 항복하라. 그러면 네가 살고 예루살렘도 구원을 받으리라.”

백성들에게도 회개의 기회가 있었습니다. (34:8–11)

백성들은 처음에 율법에 따라 동족 노예를 해방하는 올바른 결정을 했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금방 마음을 돌이켜 해방한 종들을 다시 억압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가 바로 이들의 회개의 시도가 종으로 삼은 동족을 해방시켜 주는 시도였다는 것 입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애굽에서 종되었던 그들을 구원하셔서 자유인, 곧 자유인의 신분이 되게 하셨다는 말씀을 하시고 계시다는 것 입니다.

예레미야 34장에서 유다의 지도자들과 백성들은 기득권과 욕심을 내려놓지 못한 것이 결국 회개의 기회를 무산시킨 결정적 이유입니다.

히브리 동족 노예를 해방한다는 것은 노동력과 경제적 이익을 포기하는 일 이었습니다.

위기 앞에서 형식적으로는 “하나님 말씀에 순종하는 듯” 했지만, 바벨론 군대가 일시적으로 철수했을 때 곧바로 다시 노예를 억압합니다.

  • 예레미야 34:16

“...너희가 돌이켜 내 이름을 더럽히고, 각기 놓아 자유하게 한 남종과 여종을 다시 끌어다가 너희에게 복종시켜 종을 삼았도다.”

"종된 이스라엘을 자유인의 신분이 되게 하신 하나님, 그러나 동족을 노예로 삼았던 이들"

지난 날 출애굽 당시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에서 종 되었던 경험을 기억하며, 살다보면 부득이 동족을 종으로 삼는 일이 있을 수 있겠지만, 그 경우라도, 그를 영구히 억압하지 말고 7년째 되는 해에 해방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 무엇보다 하나님께서 주신 기업은 사고 팔 수 있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

출애굽기 21:2 – “히브리 남종을 사면 6년 동안 섬기게 하고 제7년에 자유롭게 하라.”

신명기 15:12 – “네 형제가 네게 팔렸거든 6년을 섬기고 제7년에 놓아 자유하게 하라.”

레위기 25:39–42 – “형제를 종으로 삼을지라도 종처럼 부리지 말고 품꾼처럼 대하라.”

2025/05/12

영광, 하나님 임재의 실체

#역대하 7:1

וּכְכַלּוֹת שְׁלֹמֹה לְהִתְפַּלֵּל וְהָאֵשׁ יָרְדָה מִן־הַשָּׁמַיִם וַתֹּאכַל הָעֹלָה וְהַזְּבָחִים וּכְבוֹד יְהוָה מָלֵא אֶת־הַבָּיִת׃

구문 분석:

1. וּכְכַלּוֹת שְׁלֹמֹה לְהִתְפַּלֵּל

  • וּ = 그리고 (접속사)
  • כְכַלּוֹת = ~이 끝났을 때 (동사 כָּלָה '끝나다'의 명사형 또는 분사 형태)
  • שְׁלֹמֹה = 솔로몬 (주어)
  • לְהִתְפַּלֵּל = 기도하다 (히필 분사 목적격; '기도하는 것을')

→ "솔로몬이 기도를 마쳤을 때"

2. וְהָאֵשׁ יָרְדָה מִן־הַשָּׁמַיִם

  • וְ = 그리고
  • הָאֵשׁ = 불 (주어, 정관사 포함)
  • יָרְדָה = 내려왔다 (동사 יָרַד qal 완료형, 3인칭 여성 단수)
  • מִן־הַשָּׁמַיִם = 하늘에서부터

→ "불이 하늘에서 내려와"

3. וַתֹּאכַל הָעֹלָה וְהַזְּבָחִים

  • וַתֹּאכַל = 삼켰다, 불살랐다 (אָכַל ‘먹다’의 여성 단수 완료형, 여기선 ‘불이 태우다’의 의미로 사용)
  • הָעֹלָה = 번제 (올려드리는 제사)
  • וְהַזְּבָחִים = 희생제물들

→ "번제물과 희생제물을 불살랐다"

4. וּכְבוֹד יְהוָה מָלֵא אֶת־הַבָּיִת

  • וּכְבוֹד = 그리고 영광 (명사, כָּבוֹד ‘영광’)
  • יְהוָה = 여호와
  • מָלֵא = 가득 찼다 (완료형, 3인칭 남성 단수)
  • אֶת־הַבָּיִת = 그 성전을 (직접 목적어)

→ "여호와의 영광이 그 성전을 가득 채웠다"

전체 해석 (직역):

"솔로몬이 기도를 마쳤을 때, 하늘에서 불이 내려와 번제물과 희생제물을 불살랐고, 여호와의 영광이 그 성전에 가득 찼다."

2025/05/04

예레미야 32장 39-44절 : 하나님의 약속, 우리를 위하여

 예레미야 32:39절 히브리어 원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וְנָתַתִּי לָהֶם לֵב אֶחָד וְדֶרֶךְ אֶחָת לְיִרְאָה אוֹתִי כָּל־הַיָּמִים לְטוֹב לָהֶם וּלְבְנֵיהֶם אַחֲרֵיהֶם

1. וְנָתַתִּי לָהֶם

  • וְ: 그리고
  • נָתַתִּי: 나는 주었다 (동사 נתן Qal 완료 1인칭 단수)
  • לָהֶם: 그들에게 (전치사 לְ + 3인칭 복수 대명사)

→ "그리고 나는 그들에게 주었다"

2. לֵב אֶחָד

  • לֵב: 마음
  • אֶחָד: 하나 (형용사, 남성 단수)
→ "하나의 마음"

2025/04/29

사무엘상 15장7-8절 : 진멸하라

#사무엘상 15:7

히브리어:

וַיַּךְ שָׁאוּל אֶת־עֲמָלֵק מֵחֲוִילָה בֹּאֲכָךְ שׁוּר אֲשֶׁר עַל־פְּנֵי מִצְרָיִם

단어별 분석:

  • וַיַּךְ (vayyakh)→ 접속사 ו (그리고) + 동사 נכה (때리다, 치다) 칼 완료형 3인칭 남성 단수 ("그리고 그가 쳤다")
  • שָׁאוּל (Sha'ul)→ 주어, 고유명사 ("사울")
  • אֶת־עֲמָלֵק (et-`Amaleq)→ 직접목적격 אֵת + 아말렉 (Amalek 족속)
  • מֵחֲוִילָה (me-Chavila)→ 전치사 מִן ("~로부터") + 하윌라 (Havila 지역 이름)
  • בֹּאֲכָךְ (bo'akha)→ 동명사 בוא ("오다") + 2인칭 남성 단수 접미어 ("네가 가는") — 여기서는 "이르는 곳" 정도로 의미
  • שׁוּר (Shur)→ 수르 (Shur 지역 이름)
  • אֲשֶׁר (asher)→ 관계대명사 ("~하는")
  • עַל־פְּנֵי (`al-pene)→ 전치사 עַל ("~위에") + 얼굴 (표면, 앞면) → "앞에"
  • מִצְרָיִם (Mitzrayim)→ 이집트 (Egypt)

2025/04/21

야베스의 기도

야베스의 기도는 역대상 4장 10절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야베스가 이스라엘의 하나님께 부르짖어 이르되,
참으로 주께서 나에게 복에 복을 더하시고,
나의 지경을 넓히시며,
주의 손이 나와 함께 하시고,
환란을 멀리하사 나로 근심이 없게 하옵소서.

하나님이 그가 구한 것을 허락하셨더라.'

히브리어 원문 (역대상 4:10):

וַיִּקְרָ֣א יַעְבֵּ֗ץ לֵ֚אלֹהֵי יִשְׂרָאֵ֔ל לֵאמֹ֖ר אִם־בָּרֵ֣ךְ תְּבָרֲכֵ֣נִי וְהִרְבִּ֣יתָ אֶת־גְּבֻלִ֗י וְהָיְתָ֤ה יָֽדְךָ֙ עִמִּ֔י וְעָשִׂ֥יתָ מֵרָ֖ע לְבִלְתִּ֣י עָצְבִּ֑י וַיָּבֵ֧א אֱלֹהִ֛ים אֵ֖ת אֲשֶׁ֥ר שָׁאָֽל׃

구문 분석

1. וַיִּקְרָ֣א יַעְבֵּ֗ץ לֵ֚אלֹהֵי יִשְׂרָאֵ֔ל לֵאמֹ֖ר

וַיִּקְרָ֣א: 그리고 그가 부르짖었다 (칼 미완료 3인칭 단수 남성, 접속사 포함)

  • יַעְבֵּ֗ץ: 야베스
  • לֵ֚אלֹהֵי יִשְׂרָאֵ֔ל: 이스라엘의 하나님께
  • לֵאמֹ֖ר: 이르기를 (말하다의 인피니티브 절, 목적용)

한글: 그리고 야베스가 이스라엘의 하나님께 불러 말하였다.
영어: And Jabez called to the God of Israel, saying,

2. אִם־בָּרֵ֣ךְ תְּבָרֲכֵ֣נִי

  • אִם: 참으로, 정말로 (조건이라기보다 강조 의미)
  • בָּרֵ֣ךְ: 축복하소서 (피엘 명령형 2인칭 남성 단수)
  • תְּבָרֲכֵ֣נִי: 당신이 나를 축복하신다면 (피엘 미완료 2인칭 남성 단수 + 접미어 1인칭 목적격)
한글: 진실로 주께서 반드시 나에게 복 주신다면,
영어: If surely blessing You will bless me,

2025/04/20

소망, Hope, ἐλπίδα

헬라어 ἐλπίς (elpis) 또는 그 형태인 ἐλπίδα (elpida)는 성경에서 자주 쓰이는 중요한 단어입니다.

#ἐλπίς / ἐλπίδα (Elpis / Elpida)

  • 뜻:

→ 희망, 소망, 기대
→ 단순한 바람(wishful thinking)이 아니라, 확신을 가진 기대감을 의미함
하나님의 약속을 믿고 기다리는 믿음의 태도

  • 어원:

헬라어 ἐλπίζω (elpizō)에서 유래 — “기대하다, 소망하다”

  • 문법
  1. ἐλπίς: 주격 (희망, 소망)
  2. ἐλπίδα: 목적격 (소망을…) → 로마서 5:4에서는 "ἐλπίδα" 형태로 사용됨 (목적어)

#성경 사용 예시

  • 로마서 5:4 καὶ ἡ δοκιμὴ ἐλπίδα· → "그리고 성품은 소망을 (만들어낸다)"
  • 히브리서 11:1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 여기서 "바라는 것들"도 ἐλπιζομένων (elpizomenōn), 즉 희망하는 것들의 의미

성품, Character, δοκιμή (dokimē)

헬라어 δοκιμή (dokimē)는 신약성경에서도 자주 등장하며, "시험", "입증", "연단", "시련을 통해 드러난 진정한 성품"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δοκιμή (dokimē)의 어원과 의미

어근:

δοκιμάζω (dokimazō) 
→ 시험하다, 검사하다, 진위를 가리다

이는 다시 δέχομαι (dechomai) “받다, 받아들이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기도 합니다.

뜻:

  • 시험을 통과하여 진짜임이 입증된 상태
  • 고난이나 시련을 통해 진정한 믿음, 진실된 성품이 드러나는 것

단순히 ‘시험’ 자체보다는, 그 시험을 통과한 결과에 더 초점이 있습니다.

#성경 속 사용 예시

  • 로마서 5:4

“인내는 연단을, 연단은 소망을 이루는 줄 앎이니라.”

  • Romans 5:3–5 (NIV)

"Not only so, but we also glory in our sufferings, because we know that suffering produces perseverance; perseverance, character; and character, hope."

여기서 "연단"이 바로 성품을 나타내는 δοκιμή (dokimē)입니다.

ὑπομονή → δοκιμή → ἐλπίς (인내 → 연단(성품) → 소망)

고린도후서 2:9

“너희가 모든 일에 순종하는지 너희를 시험하려고...”

여기에서도 δοκιμή는 "시험" 혹은 "입증된 상태"라는 의미입니다.

요약

δοκιμή (dokimē):

→연단, 입증된 성품, 시련을 통한 진정성의 확인

→ 단순한 고난이 아니라, 그 고난 속에서 진실하고 견고함이 드러나는 것



인내, endurance, ὑπομονή

 "Endurance"와 관련된 그리스(헬라)어 단어는 ὑπομονή (hypomonē)입니다.

#ὑπομονή (hypomonē)의 구성:

ὑπό (hypo) = 아래에, 밑에서

+

μένω (menō) = 머무르다, 남다

→ 직역하면 "밑에 머무르다"
어려움이나 고난 아래에서도 견디며 머무르는 상태를 뜻합니다.

의미:

  • 인내, 참을성, 견딤, 끈기
  • 특히 신약성경에서도 자주 등장하며, 믿음 안에서 시련을 견디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예:

  • 로마서 5:3 — "환난은 인내(ὑπομονή)를 이루고…"
  • 야고보서 1:3 — "믿음의 시련이 인내(ὑπομονή)를 만들어내는 줄 너희가 앎이라."

2025/04/13

HOPE, 어원과 유래

"Hope"는 라틴어나 헬라어가 아니라 고유한 게르만어 어원에서 출발했어요.

게르만어 출신 단어들은 대개 따뜻하고 소박한 느낌이 있고,

라틴어에서 온 단어들은 논리적이거나 철학적인 느낌이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게르만계 뿌리

Hope는 고대 게르만어족에 속하며, 네덜란드어 hoop, 독일어 Hoffnung과 관련이 있습니다.

  • 독일어 Hoffen: 희망하다
  • Hoffnung: 희망
→ 공통적으로 “무언가 좋은 것을 기대하며 기다리는 마음”이 포함되어 있어요.

#영어 Hope의 어원

  • 고대 영어: hopa
  • 뜻: 신뢰, 기대, 희망
  • 형태: 동사형은 hopian (기대하다, 바라다)

이 단어는 기쁨 또는 신뢰와 함께 미래의 선한 일을 기대하는 감정에서 나왔어요.

#기독교적 영향

중세 이후, 기독교 신앙 안에서 Hope(소망)은 믿음(faith), 사랑(love)과 함께 삼대 덕목으로 자리잡았고, 단순한 바람을 넘어서 하나님에 대한 확신과 신뢰를 담은 단어가 되었어요.

#라틴어 및 헬라어

  • 헬라어: ἐλπίς (elpis) – 기대, 소망
  • 라틴어: spes – 희망 (이 단어에서 despair (절망)의 -sper-이 유래됨)

→ 영어 “hope”는 고유한 게르만어에서 왔지만, 기독교 성경 번역을 통해 그 신학적 의미가 더해졌어요.

2025/04/06

surrender vs surround

#surrender

어원:

"surrender"는 중세 영어 surrendre에서 왔고, 이는 다시 중세 프랑스어 surrendre 또는 surrendre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프랑스어 단어는 다음 두 요소로 구성됩니다:

sur-

: "위에, 넘어서(over)"를 의미하는 접두사 (라틴어 super-에서 유래)

+

rendre

: "돌려주다, 반환하다"라는 뜻 (라틴어 reddere에서 유래: re- "다시" + dare "주다")

본래 의미:

  • “위에 넘겨주다” 또는 “다시 돌려주다”라는 의미에서, 권리나 소유권을 포기하고 넘겨주다는 뜻으로 발전했습니다.

현대 의미로의 발전:

  • 원래 법률적·군사적 맥락에서 항복하다, 양도하다, 포기하다는 뜻으로 사용되다가, 
  • 지금은 일상 언어에서 감정적·영적·심리적 의미로도 확장되어 "자신을 내맡기다", "굴복하다"는 뜻도 포함하게 되었습니다.

#surround

어원:

"surround"는 중세 프랑스어 suronder에서 왔고, 이는 다시 라틴어에서 유래한 두 요소로 나뉩니다:

sur-

: "위에, 주위에"를 뜻하는 접두사 (라틴어 super-에서 유래)

+

round

: "둥근, 원형의"를 의미 (라틴어 rotundus → 프랑스어 rond)

본래 의미:

  • "둥글게 에워싸다", "주위를 감싸다"라는 뜻에서 유래했습니다.

현대 의미

  • 군사적: 적을 포위하다
  • 일반적: 어떤 것을 둘러싸다, 감싸다
  • 추상적: 분위기나 상황에 둘러싸이다 (e.g., be surrounded by love)

#surrender vs surround 

"sur-"가 공통이지만 뒤에 따라오는 어근에 따라 의미가 완전히 달라진다는 점이 재밌죠!

#Sur-가 어근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다른 예

접두사 "sur-"는 기본적으로 라틴어 super-에서 온 말로 "위에", "넘어서", "주변에" 등의 뜻을 가지고 있는데, 붙는 어근에 따라 의미가 꽤 달라집니다. 아래에 몇 가지 예를 정리해볼게요.

  1. Surpass : sur+pass(통과하다) ; 기준을 훌쩍 넘다. 능가하다. 뛰어넘다
  2. Survive : sur+vive(살다, 생명, 생기) ; (죽음이나 위험을 넘어) 살아남다, 생존 (☝revive 소생하다. 다시 활기를 되찾다. 다시 살아나다, vivid 생생한, 활기찬, 생기가 넘치는, 선명한)
  3. Surmount : sur+mount(오르다) ; 극복하다. 올라서다
  4. Surreal : sur+real(현실적인) ; 초현실적인
  5. Surname : sur+name(이름) ; 성(이름 위에 붙는)
  6. Surface : sur+face(얼굴, 면) ; 표면, 겉면
  7. Surmise : super+mise(~에 놓아두다, 보내다. to put or to send) ; 짐작하다. 추측하다. 억측하다.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위에 얹어놓다"는 뜻이 됩니다. 이 말은 확실한 증거 없이 위에 어떤 생각을 '얹어놓은 것' — 즉, 추측하거나 짐작하는 행위로 발전했어요. 이 단어는 논리적 증거 없이 마음속에 "슬쩍 올려놓은 생각"이라고 이미지화해서 외워요.

이처럼, sur-는 하나의 뜻으로 고정되지 않고 위에, 주위에, 넘어서 등으로 다양하게 쓰입니다.

그 뒤에 오는 어근의 뜻에 따라 전체 단어의 의미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이 외에도 surveillance(감시, 감독), surfeit(과식, 과다), surge(위로 솟구치다. 급증) 등이 있습니다.

בּוּשׁ (bosh) – "수치심을 느끼다"

 수치심ᆢ

"בּוּשׁ" (bosh, 부쉬)는 히브리어에서 "부끄러워하다, 수치를 느끼다, 당황하다"는 의미를 가지는 동사입니다. 이 단어는 구약 성경에서 자주 등장하며, 맥락에 따라 개인적인 부끄러움부터 공적인 수치, 하나님의 심판으로 인한 치욕까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בּוּשׁ (bosh)_기본 의미와 어원

  • 어근: בּוּשׁ (bosh) → "수치를 느끼다, 부끄러워하다, 당황하다"
  • 어원적 의미: 원래 의미는 "늦다, 지체하다"와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음.

기대했던 일이 일어나지 않을 때 느끼는 당혹감과 좌절에서 "부끄러움, 수치"로 확장됨.

예: 사무엘상 10:8에서 사울이 사무엘을 기다리며 "지체하다"는 의미로 사용됨.

#בּוּשׁ (bosh)_구약에서의 사용 예시

(1) 창세기 2:25 – 타락 전 인간의 상태

וַיִּהְיוּ שְׁנֵיהֶם עֲרוּמִּים הָאָדָם וְאִשְׁתּוֹ וְלֹא יִתְבֹּשָׁשׁוּ

(Vayihyu sheneihem ‘arumim ha-adam ve-ishto velo yitboshashu.)

  • "יִתְבֹּשָׁשׁוּ" (yitboshashu)
  • 어근: בּוּשׁ (bosh) – "부끄러워하다, 수치를 느끼다"
  • 문법: 히트파엘형 미완료 3인칭 복수
  • 의미: "그들은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2025/04/03

예레미야 20장 7-18

 #예레미야 20:7 (יִרְמְיָהוּ כ׳:ז׳)

פִּתִּיתַנִי יְהוָה וָאֶפָּת, חֲזַקְתַּנִי וַתּוּכָל

  • פִּתִּיתַנִי (pititani) – פתה (PTH, 미완료 2인칭 단수, 칼) “당신이 나를 꾀셨습니다.”
  • יְהוָה (YHWH) – 야훼(여호와)
  • וָאֶפָּת (va'epat) – פתה (PTH, 미완료 1인칭 단수, 칼) “내가 꾀임을 당했습니다.”
  • חֲזַקְתַּנִי (ḥazaqtani) – חזק (ḤZQ, 완료 2인칭 단수, 칼) “당신이 나를 강하게 하셨습니다.”
  • וַתּוּכָל (vattukhal) – יכל (YKL, 완료 2인칭 단수, 칼) “당신이 이기셨습니다.”

해석:

"여호와여, 주께서 나를 꾀셨으므로 내가 꾀임을 받았으며, 주께서 나를 강하게 하셨으므로 주께서 이기셨나이다."

#예레미야 20:8 (יִרְמְיָהוּ כ׳:ח׳)

כִּי מִדֵּי אֲדַבֵּר אֶזְעָק, חָמָס וָשֹׁד אֶקְרָא

  • כִּי (ki) – "왜냐하면"
  • מִדֵּי (midei) – "매번 ~할 때"
  • אֲדַבֵּר (adabber) – דבר (DBR, 미완료 1인칭 단수, 피엘) “내가 말할 때”
  • אֶזְעָק (ez‘aq) – זעק (Z‘Q, 미완료 1인칭 단수, 칼) “내가 부르짖을 때”
  • חָמָס וָשֹׁד (ḥamas va-shod) – “폭력과 탈취”
  • אֶקְרָא (eqra) – קרא (QR’, 미완료 1인칭 단수, 칼) “내가 외칠 때”

해석:

"내가 말할 때마다 부르짖으며, '폭력과 탈취가 있다'고 외칩니다."

#예레미야 20:9 (יִרְמְיָהוּ כ׳:ט׳)

וְהָיָה בְלִבִּי כְּאֵשׁ בֹּעֶרֶת עָצוּר בְּעַצְמֹתָי

  • וְהָיָה (ve-hayah) – היה (HYH, 완료 3인칭 단수, 칼) “그리고 ~이 되었다.”
  • בְּלִבִּי (be-libbi) – “내 마음속에”
  • כְּאֵשׁ בֹּעֶרֶת (ke-esh bo‘eret) – “불처럼 타오르는”
  • עָצוּר (atzur) – עצר (TZR, 칼 수동형) “갇힌”
  • בְּעַצְמֹתָי (be-atzmotai) – “내 뼈 속에”

해석:

"그러나 내 마음 속에서 불처럼 타오르며, 내 뼈 속에 갇힌 것 같았습니다."

#예레미야 20:10 (יִרְמְיָהוּ כ׳:י׳)

כִּי שָׁמַעְתִּי דִּבַּת רַבִּים מָגוֹר מִסָּבִיב; הַגִּידוּ וְנַגִּידֶנּוּ כָּל אֲנָשֵׁי שְׁלוֹמִי, שֹׁמְרִים צַלְעִי לֵאמֹר אוּלַי יֻפָּתֶה וְנוּכְלָה לוֹ וְנִקְחָה נִקְמָתֵנוּ מִמֶּנּוּ

  • כִּי שָׁמַעְתִּי (ki shama‘ti) – "이는 내가 들었음이라" (שָׁמַע(shama‘) → 칼 완료 1인칭 단수, “내가 들었다”)
  • דִּבַּת רַבִּים (dibbat rabbim) – "많은 자들의 비방"
  • מָגוֹר מִסָּבִיב (magor missaviv) – "사방에서 두려움이 있음이라" (מָגוֹר(magor) → "공포, 두려움")
  • הַגִּידוּ וְנַגִּידֶנּוּ (hagidu ve-nagidennu) – "고하라, 우리가 그것을 전하리라" (נַגִּידֶנּוּ(nagidennu) → 히필 미완료 1인칭 복수, “우리가 전하리라”)
  • כָּל אֲנָשֵׁי שְׁלוֹמִי (kol anshei shelomi) – "나의 평안을 누리던 모든 사람들" (즉, 친구들이나 동료들)
  • שֹׁמְרִים צַלְעִי (shomrim tzala‘i) – "나의 발걸음을 지켜보며"
  • אוּלַי יֻפָּתֶה (ulay yuppateh) – "혹시라도 그가 꾀임을 받을까 하여" (יֻפָּתֶה(yuppateh) → 피엘 미완료 3인칭 단수 수동형, “유혹될 것이다”)
  • וְנוּכְלָה לוֹ (ve-nukhlah lo) – "그를 이길 수 있을까 하여" (נוּכְלָה(nukhlah) → 칼 미완료 1인칭 복수)
  • וְנִקְחָה נִקְמָתֵנוּ מִמֶּנּוּ (ve-nikḥah niqmatenu mimennu) – "그에게서 우리의 복수를 취하리라"

해석

"내가 많은 사람들의 비방을 들었으니, 사방에 두려움이 있도다. 그들이 말하기를 '고하라, 우리가 전하리라' 하며, 나의 친구들조차도 나의 발걸음을 지켜보며 말하기를 '혹시 그가 유혹되어 우리가 그를 이길 수 있을까? 우리가 그에게서 복수를 취하리라' 하나이다."

#예레미야 20:11 (יִרְמְיָהוּ כ׳:י״א)

וַיהוָה אוֹתִי כְּגִבּוֹר עָצוּם, עַל-כֵּן רֹדְפַי יִכָּשְׁלוּ וְלֹא יוּכָלוּ; בֹּשׁוּ מְאֹד כִּי לֹא הִשְׂכִּילוּ, כְּלִמַּת עוֹלָם לֹא תִשָּׁכֵּחַ

  • וַיהוָה אוֹתִי (va-YHWH oti) – "그러나 여호와께서 나와 함께 계시니"
  • כְּגִבּוֹר עָצוּם (ke-gibbor atzum) – "강한 용사처럼"
  • עַל-כֵּן רֹדְפַי יִכָּשְׁלוּ וְלֹא יוּכָלוּ (‘al ken rodfai yikkashlu ve-lo yukhalu) – "그러므로 나를 핍박하는 자들이 넘어져서 능히 이기지 못할 것이요"
  • בֹּשׁוּ מְאֹד כִּי לֹא הִשְׂכִּילוּ (boshu me’od ki lo hiskilu) – "그들이 크게 수치를 당하리니, 이는 그들이 깨닫지 못하였음이라"
  • כְּלִמַּת עוֹלָם לֹא תִשָּׁכֵּחַ (kelimmat olam lo tishakeaḥ) – "그들의 영원한 치욕이 잊혀지지 아니하리라"

해석

"그러나 여호와께서 나와 함께 계시니, 강한 용사 같으시도다. 그러므로 나를 핍박하는 자들이 넘어지고 능히 이기지 못할 것이며, 그들은 크게 수치를 당하리니, 이는 그들이 깨닫지 못하였음이라. 그들의 영원한 치욕은 잊혀지지 아니하리라."

#예레미야 20:12 (יִרְמְיָהוּ כ׳:י״ב)

וַיהוָה צְבָאוֹת, בֹּחֵן צַדִּיק רֹאֶה כְלָיוֹת וָלֵב; אֶרְאֶה נִקְמָתְךָ מֵהֶם, כִּי אֵלֶיךָ גִּלִּיתִי אֶת-רִיבִי

  • וַיהוָה צְבָאוֹת (va-YHWH tseva’ot) – "그러나 만군의 여호와께서"
  • בֹּחֵן צַדִּיק רֹאֶה כְלָיוֹת וָלֵב (boḥen tzaddiq ro’eh kelayot va-lev) – "의인을 시험하시고 속과 마음을 보시는 주께서"
  • אֶרְאֶה נִקְמָתְךָ מֵהֶם (er’eh niqmatekha mehem) – "내가 그들에게서 주의 복수를 보리니"
  • כִּי אֵלֶיךָ גִּלִּיתִי אֶת-רִיבִי (ki eleikha gilliti et-rivi) – "이는 내가 주께 나의 사정을 아뢰었음이라"

해석

"그러나 만군의 여호와여, 의인을 시험하시며 심장과 마음을 감찰하시는 주께서여, 내가 주의 복수를 그들에게서 보기를 원하오니, 이는 내가 내 사정을 주께 아뢰었음이니이다."

#예레미야 20:13 (יִרְמְיָהוּ כ׳:י״ג)

שִׁירוּ לַיהוָה הַלְלוּ אֶת-יְהוָה, כִּי-הִצִּיל אֶת-נֶפֶשׁ אֶבְיוֹן מִיַּד מְרֵעִים

  • שִׁירוּ לַיהוָה הַלְלוּ אֶת-יְהוָה (shiru la-YHWH halelu et-YHWH) – "여호와께 노래하며 찬양하라"
  • כִּי-הִצִּיל אֶת-נֶפֶשׁ אֶבְיוֹן (ki hitzil et-nefesh evyon) – "이는 그가 가난한 자의 생명을 구원하셨음이라"
  • מִיַּד מְרֵעִים (miyad mere‘im) – "악인의 손에서"

해석

"여호와께 노래하며 찬양하라! 이는 그가 가난한 자의 생명을 악인의 손에서 구원하셨음이라."

2025/03/31

Charge 어원과 유래

#Charge의 어원과 유래를 살펴보면, 

이 단어는 라틴어에서 시작하여 프랑스어를 거쳐 영어로 들어왔습니다.

1. 라틴어:

  • "carricare" (짐을 싣다, 채우다)
  • "carrus" (수레)에서 유래

2. 고대 프랑스어:

  • "charger" (짐을 싣다, 책임을 부과하다, 돌진하다)

이 의미들이 영어에 영향을 줌

3. 중세 영어 (14세기):

  • 동사 charge: "짐을 싣다, 부담을 지우다, 명령하다"
  • 명사 charge: "책임, 부담, 돌격"

이후 charge는 다양한 의미로 발전했으며, 특히 군사적 의미(돌격하다), 법적 의미(혐의를 제기하다), 기술적 의미(전하를 충전하다) 등으로 확장되었습니다.

#carry와의 연관성

Carry와 Charge는 어원적으로 연관성이 있습니다.

1. 공통 어원: 라틴어 carrus

두 단어 모두 라틴어 carrus ("수레")에서 파생되었습니다.

  • carricare (짐을 싣다, 채우다) → 프랑스어 charger → 영어 charge

carrus에서 직접 유래한 carriage (운반, 마차) → 영어 carry

2. 의미적 유사성

  • Charge는 "짐을 싣다"라는 의미에서 "책임을 부과하다", "충전하다", "돌격하다" 등으로 확장됨.
  • Carry는 "짐을 나르다"라는 물리적 개념에서 "책임을 지다", "전달하다" 등의 추상적 의미로 발전.

즉, 두 단어는 "운반하다"라는 공통 개념에서 출발하여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의미가 확장되었습니다.

#같은 어원을 가진 다른 단어들

Charge와 Carry가 공유하는 라틴어 carrus ("수레")에서 파생된 다른 단어들을 보면, 모두 "운반", "짐", "부담"과 관련된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1. carrus (수레)에서 직접 유래한 단어

  • Car: 자동차
  • Carriage: 마차, 운반
  • Cart: 수레, 카트

2. carricare (짐을 싣다)에서 유래한 단어

  • Cargo: 화물
  • Cartoon: 원래 뜻은 ‘초기 스케치’였으며, 이 역시 운반되는 그림에서 유래
  • Carrier: 운반하는 것(사람, 회사, 바이러스 보균자 등)

3. charger (짐을 지우다, 돌격하다)에서 발전한 단어

  • Charger: 충전기 (전하를 "채운다"는 개념)
  • Overcharge: 과다 청구하다, 과부하를 주다
  • Discharge: 방출하다, 해고하다 (짐을 내리는 개념)

이처럼 carrus에서 유래한 단어들은 대부분 "운반", "짐", "부과"와 관련된 의미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예레미야 52장17-23절 묵상 : 솔로몬의 영광

 예레미야 52:17-23은 바벨론 군대가 예루살렘 성전의 기물과 구조물을 철저히 파괴하고 탈취하는 장면을 묘사합니다. 이 본문은 열왕기하 25장과도 병행되는 내용이며, 성전 파괴의 비극성과 이스라엘의 멸망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구절입니다. # 예레미...